마음을 움직이는 안전교육 : 동기부여의 원리 활용하기
- sam40004
- 3월 14일
- 4분 분량
5분만 투자하면 자발적으로 안전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동기부여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가 어떤 점에서 다른지 확인해보세요. ✔ 내재적 동기를 높이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자율성, 유능감, 관계서)에 대해 알아보세요. ✔ 어떤 교육을 통해 내재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안전 관리를 하다 보면 직원들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일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걸 자주 느끼게 됩니다. 안전 수칙을 지키라고 아무리 강조해도 직원들이 무관심하거나, 관리자가 보고 있을 때만 따르는 척을 할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직원들이 진심으로 안전한 행동에 참여하도록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요?
바로 '동기(motivation)'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동기란 개인이 특정 행동을 시작하고 지속하도록 하는 내적·외적 요인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심리학자 Deci & Ryan의 '자기결정 이론(SDT)'을 통해 동기부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동기는 크게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나뉩니다. 외재적 동기는 보상이나 처벌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행동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으면 벌금을 내야 한다"거나, "무재해 달성 시 포상을 준다"는 것이 외재적 동기에 해당됩니다. 단기적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외재적 동기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한다면, 내재적 동기 또한 고려해야 합니다.
내재적 동기는 행동 자체에 의미와 만족감을 느껴 자발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직원들이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내 스스로에게 의미가 있다"고 느낄 때 안전 수칙을 적극적으로 준수하게 됩니다. 내재적 동기를 높이는 일은 보상이나 처벌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복잡하고 미묘하다고 느끼기 쉽습니다. 하지만 내재적 동기 또한 명확한 원칙만 이해한다면 쉽게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자기결정 이론(SDT)의 세 가지 기본 욕구
자기결정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다음의 세 가지 욕구가 충족될 때 강력한 내재적 동기가 생깁니다.
1. 자율성
자율성은 자신이 선택한 행동이라고 느낄 때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아이에게 공부를 하라고 무조건 강요하면 공부에 대한 흥미를 잃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성적이나 부모님의 기대 때문에 억지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나 목표를 스스로 찾고 "내가 이 공부를 왜 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결정하게 된다면 아이는 더 적극적이고 꾸준히 공부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직원들에게 안전 수칙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면 "시키니까 어쩔 수 없이 한다"라는 인식이 생기게 됩니다. 반면, 왜 안전 수칙이 필요한지를 스스로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동기 부여가 훨씬 잘 이루어집니다. 안전 수칙을 지키라고 매일같이 반복해서 이야기하는 것보다, 그 수칙이 왜 필요한지에 관해 함께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안전 수칙 준수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2. 유능감
유능감은 자신이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들 때 생깁니다. 자전거를 처음 탈 때 아이들은 넘어질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넘어지더라도 옆에서 계속 격려해 주고, 연습을 반복하다 보면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자신감을 얻습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알지 못했던 자전거 타는 즐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안전 행동 또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위험 요소를 발견하면 반드시 보고하라고 안내하더라도, 실제로 보고하는 경우가 드문 것은 왜일까요? 유능감의 관점에서 보면, 위험 요소를 직접 발견해 본 적도, 보고해 본 적도 없기 때문에 내가 보는 위험이 보고를 할 만한 일인지 확실하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위험 요소를 보고하는 일은 자전거를 타는 일만큼 연습과 격려를 통해 “나도 할 수 있는 일이구나!”라는 자신감을 필요로 합니다.
3. 관계성
관계성은 서로 연결되었다고 느낄 때, 즉 팀워크가 강할 때 높아집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열심히 하는 이유는 종종 그 일의 의미나 중요성보다도 함께하는 사람들 때문일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팀장이 구성원들의 어려움에 진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함께 해결 방안을 고민해 주는 경우, 구성원은 리더를 더욱 신뢰하고 팀에 애정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의 목표를 함께 달성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섭니다.
안전에서도 팀워크가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직원들이 서로 믿고 의지하는 관계일수록 나의 안전만큼이나 동료의 안전,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일에 적극성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리더가 먼저 나서서 구성원들의 안전을 위해 행동하고, 안전이 “우리 모두의 목표”라는 점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마음을 움직이는 안전교육
안전문화의 핵심은 구성원 모두가 안전에 높은 가치를 두고 행동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안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행동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높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에서 운영하는 안전 교육 및 워크샵은 구성원이 경험한 안전과 위험에 관해 직접 이야기하고, 서로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는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역할극이나 시뮬레이션과 같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을 연습하며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자발성과 내재적 동기를 높이도록 설계된 교육은 누군가 구체적으로 지시하거나 강제하지 않아도 높은 수준의 안전 행동 목표를 수립할 수 있게 합니다. 다음은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 교육 및 워크샵에서 실제 참여자들이 작성한 안전 행동 다짐입니다.
“동료가 보호장구를 잘 착용하는지 관심을 갖고, 기분이 나쁘지 않도록 현명하게 조언해 주겠습니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절대 타협하지 않고 높은 기준으로 안전 점검을 하겠습니다”
“구성원과 안전에 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별도로 할애하겠습니다”
이러한 목표를 스스로 수립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고, 안전의 중요성에 관해 의견을 나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구성원의 마음을 움직이고 싶다면,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 교육 및 워크샵과 함께하세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우리 조직의 안전관리는 직원들의 내적 동기를 충분히 자극하고 있나요?
직원들이 안전 수칙을 '스스로 선택한 일'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나요?
직원들이 안전 활동을 하면서 자신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나요?
직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연결감을 느끼게 하는 안전문화가 있나요?
우리 조직에서는 안전 수칙을 왜 지켜야 하는지 직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있나요?
직원들이 안전 활동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얼마나 자주 받고 있나요?
리더가 직접 모범을 보이며 직원들의 안전 의식을 이끌고 있나요?
직원들이 안전 문제를 편하게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나요?
지금 우리 조직의 안전관리 방식 중에 직원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점은 무엇일까요?
자기결정 이론을 우리 회사 안전관리에 적용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참고문헌]
서은혜, 이효주, & 박성민. (2017). 안전, 제도와 매뉴얼만으로 가능한 것인가?: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효과성, 삶의 질에 관한 연구-자기결정성 이론 (SDT) 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7(1), 90-109.
안관영. (2003).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25(4), 155-179.
한민. (2024). 연구실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 간의 차이 분석. 안전문화연구, 137-151.
한정원, 이경수, 박찬신, & 손영우. (2009). 조종사의 안전행동을 예측하는 조직의 안전문화와 개인의 안전태도 및 안전동기 간의 관계: 공군 부대와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다층자료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1), 109-129.
Gagné,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4), 331-362.
Ryan, R. M., & Deci, E. L. (2020). Self-Determination Theory: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New York: Guilford Pres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