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교육은 끝나도 코칭은 계속된다: 안전코칭 모델 SAFER

5분만 투자하면 안전 코칭의 핵심을 알 수 있어요! ✔ 안전 코칭이 어떻게 안전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 안전에 특화된 코칭 모델과 안전 코치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을 알아보세요. ✔ 우리 조직에 안전 코칭을 도입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어느 제조 현장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한 직원이 장비 점검을 마친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려던 찰나, 팀장이 조용히 다가와 말했습니다.


“혹시 잠금장치 확인은 끝났나요? 같이 한 번 더 확인해 볼까요?”


두 사람은 다시 기계를 점검했고, 잠금장치 하나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자칫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상황이었죠. 이때 팀장이 던진 질문은 지적이나 확인 요청과는 다른, 구성원이 스스로 점검의 중요성을 다시 떠올리게 만드는 리마인드였습니다.


이러한 말 한마디가 지닌 힘은 바로 ‘코칭’에서 나옵니다. 지적하거나 압박하지 않고, 함께 다시 한 번 점검해 보자고 제안하는 방식은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안전 코칭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더가 이런 태도로 다가올 때, 구성원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며 더욱 주의 깊게 업무에 임하게 됩니다.


안전 코칭은 단발성이 아니라 ‘지속성’


많은 현장에서 안전 교육은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의를 들은 직후에는 모두가 경각심을 가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내용은 점점 희미해지고 맙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이러한 강의식 안전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리마인드’를 안전 코칭의 중요한 축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전 코칭은 교육 이후에도 반복해서 안전을 상기시키고, 자연스럽게 안전한 행동을 습관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리더는 작업 전 짧은 점검 대화를 통해 오늘의 위험요소를 함께 살펴보고, 작업 후 리뷰 시간을 통해 오늘의 선택이 어떤 결과를 만들었는지를 되짚을 수 있습니다. 이런 습관은 구성원이 단순히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 아닌,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변화는 바로 지속적인 안전 코칭에서 비롯된 효과입니다.


왜 ‘안전에 특화된 코칭 모델’이 필요할까요?


일반적인 코칭 기법은 주로 성과 향상, 개인의 역량 개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은 그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단 한 번의 실수나 방심이 바로 사고로 이어지고, 그 피해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코칭 역시 안전을 중심으로 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안전 코칭 모델 SAFER는 바로 이런 이유로 개발된 코칭 모델입니다. SAFER 코칭은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Set goals (목표 설정) –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함께 목표를 설정합니다.

  2. Awareness (위험 인식) – 현장의 상황을 살펴보고, 숨어 있는 위험요소를 찾아냅니다.

  3. Focus (해결방안 탐색) – 문제를 발견했다면, 그에 맞는 현실적인 대안을 함께 고민합니다.

  4. Execute (실행) – 준비한 해결책을 실제 작업에 적용합니다.

  5. Review (리뷰) – 실행 결과를 되돌아보며, 잘된 점과 개선할 점을 되짚어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구성원은 단순히 지시를 따르는 것을 넘어서, 위험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행동하는 주체가 됩니다. SAFER 코칭은 이러한 자율성과 책임감을 동시에 키우는 모델입니다.


안전 코칭의 핵심 기술 : 질문, 경청, 피드백


안전 코칭은 리더가 어떤 질문을 던지고, 얼마나 잘 들어주며,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집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SAFER 코칭 모델을 현장에 적용할 때, 이 세 가지 기술을 중심으로 교육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첫째, 질문은 생각을 유도하고 행동을 점검하게 만듭니다.

“요즘 작업에서 위험하다고 느낀 부분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우리가 어떻게 하면 그 부분을 더 안전하게 만들 수 있을까요?”와 같은 질문은 구성원이 스스로 고민하고 말할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반대로 “더 조심해서 천천히 해야 하지 않을까?”와 같은 질문은, 사실 질문을 가장한 지적입니다. 그래서 안전 코칭을 잘하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둘째, 경청은 구성원이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합니다.

리더가 진심으로 귀를 기울이면, 구성원도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게 되고, 이는 더 깊이 있는 코칭으로 이어집니다. 듣는 것이 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귀를 기울여서 제대로 듣기 위해서는 경청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셋째, 피드백은 행동을 바꾸는 힘입니다.

잘한 부분은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감정이 아닌 사실 기반의 피드백으로 전달함으로써, 구성원은 부담 없이 수용하고 다음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안전 코치는 긍정과 부정 피드백을 모두 능숙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안전 코칭을 도입하는 방법


안전 코칭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막상 조직에 도입하려 할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다양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에 맞는 안전 코칭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제안합니다.


1. 외부 전문가를 통한 팀 단위 안전 코칭


첫 번째 방법은 전문 안전 코치가 팀 단위로 직접 안전 코칭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 코치는 해당 팀과 함께 현장을 둘러보고, 실제 작업 상황 속에서 SAFER 코칭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 목표 설정부터, 위험 요소 파악, 해결책 논의, 실행, 그리고 리뷰까지의 전 과정을 팀원들과 함께 진행하며 코칭합니다.


이 과정은 해당 팀의 모든 구성원들이 안전 목표를 함께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외부 전문가의 객관적인 시선과 맞춤형 피드백은 초기 코칭 문화 정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산업군의 조직에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고 있으며, 코칭의 실제 효과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은 조직에 적합한 접근법입니다.


2. 조직 내부에서 안전 코치를 양성하는 방법


지속 가능하고 자율적인 코칭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에서 안전 코치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이를 위해 ‘사내 안전 코치 양성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SAFER 모델의 이해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코칭을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앞서 언급한 질문하기, 경청하기, 피드백하기의 세 가지 핵심 스킬을 체계적으로 훈련합니다.


사내 안전 코치로 훈련된 구성원은 이후 조직 내에서 다른 팀원들에게 지속적으로 코칭을 실천하며, 점차 조직 전체의 안전 역량을 끌어올리는 중심 역할을 하게 됩니다. 내부 코치 양성은 1) 리더십 강화와 2) 자율적 안전문화 형성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누릴 수 있는 전략이기도 합니다.


안전은 장비나 절차만으로는 완성되지 않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 그리고 그 안에서 오가는 신뢰와 관심이 있어야 비로소 지켜집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SAFER 코칭 모델을 기반으로 현장의 리더들이 더 효과적인 질문을 던지고, 귀 기울이며,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도 리더의 한마디가, 누군가의 안전을 지키는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에서는 안전 교육이 끝난 후에도 내용을 다시 떠올릴 수 있도록 리마인드하고 있나요?

  • 우리 조직의 리더는 평소에 구성원에게 어떤 방식으로 안전을 이야기하고 있나요?

  • 우리 조직에서는 구성원들과 위험요소에 대해 함께 이야기해 본 적이 있나요?

  • 우리 조직은 SAFER 모델처럼 체계적으로 안전을 점검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방법을 갖추고 있나요?

  • 우리 조직에서는 안전 관련 피드백을 자주, 그리고 구체적으로 주고받고 있나요?

  • 외부 전문가의 코칭을 받는다면, 우리 조직은 어떤 점에서 변화가 생길 수 있을까요?

  • 조직 내에 안전 코치를 양성한다면, 어떤 사람부터 안전 코치로 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참고문헌]

  • 이지동, 오세진, & 문광수. (2018).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행동기반 안전관리 (Behavior Based Safety: BBS) 를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지33(6), 115-122.

  • Hermawan, F., Setyawan, A., & Sudhartio, L. (2024). The Role of Safety 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Safety Coaching and Safety Engagement on Safety Performance. Ganaya: Jurnal Ilmu Sosial dan Humaniora7(2), 377-385.

  • Krauesslar, V., Avery, R. E., & Passmore, J. (2015). Taking ownership of safety. What are the active ingredients of safety coaching and how do they impact safety outcomes in critical offshore work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21(1), 39-46.

  • Moon, K. (2024). Effect of a Safety Leadership Training Including Coaching on Safety Performance and Climate in Wood-processing Companies. Safety and Health at Work15(3), 310-316.

  • Passmore, J., Krauesslar, V., & Avery, R. (2015). Safety coaching: A literature review of coaching in high hazard industries.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47(4), 195-200.

  • Shukla, M., Tyagi, D., & Pandey, J. (2024). Safety “works”: the influence of safety coaching on work engagement. Management Decision62(3), 913-929.

 
 
 

Comments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